본문 바로가기
입시와 교육에 관한 정보

고교학점제 , 학생 주도 수업 계획서 작성법, 입시 전문가의 실전 가이드

by amazing 똑순이 2025. 5. 14.

2028학년도부터 전면 도입되는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 스스로 수업을 선택하고 이수하는 자기 주도성이 매우 중요해집니다. 특히 대학에서는 ‘전공적합성’과 ‘탐구역량’을 평가할 때, 학생 주도 수업 계획서와 그 실행 기록을 중점적으로 보게 됩니다.

자기 주도 학습 계획서가 입시 결과를 바꿉니다.

1. 학생 주도 수업 계획서란?

학생 주도 수업 계획서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 흥미, 역량에 따라 수강할 과목을 직접 기획하고, 그 이유와 학습 목표를 명확히 서술한 문서입니다. 이 계획은 교사와 학부모의 협의를 거쳐 실제 수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생기부 기록이나 전공 탐색 활동의 증거로도 활용됩니다.

2. 계획서 작성의 중요성: 대학은 무엇을 보는가?

입시 현장에서는 단순한 내신 성적보다, 학생이 왜 그 과목을 선택했는지, 그 수업에서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연결했는지를 평가합니다. 계획서 내용은 다음과 같은 지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전공 연계성: 계획한 과목이 진로와 직접 연결되는가?
  • 탐구 역량: 단순 수강을 넘어 추가 학습, 보고서, 발표까지 이어지는가?
  • 자기 주도성: 학교 밖 학습 자원(온라인, 책 등)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3. 학생 주도 수업 계획서 구성 요소

아래는 입시 평가에서 효과적인 계획서의 구성입니다.

① 과목 선택 배경

“중학교 때부터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았고, 고등학교에서는 지구과학과 생명과학을 중심으로 이 문제를 더 깊이 이해하고 싶었습니다.”처럼 개인의 흥미와 진로를 연결하는 설명이 필요합니다.

② 수업에서 기대하는 학습

단순히 ‘잘하고 싶다’가 아니라, “해양 생태계에 대한 자료를 직접 찾아 분석해 보고 싶다”, “환경 통계를 수학적으로 해석해보고 싶다” 등 구체적인 학습 목표를 써야 합니다.

③ 학습 이후 계획

이 과목 이수 후, 어떤 활동(보고서, 독서, 대회, 동아리 등)으로 확장할 것인지 작성하면 탐구심과 실천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4. 실제 예시: 생명과학 수업 계획서 일부

과목명: 생명과학 실험
선택 이유: 의생명공학에 관심이 있어, 실험 기반의 수업을 통해 세포 단위의 현상을 직접 관찰하고 싶음.
학습 목표: 광합성과 효소 반응 실험을 통해 생명현상의 원리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탐구 보고서로 정리
추가 활동 계획: 학기 중 실험 주제와 연계된 논문 독서 및 교내 과학토론회 참여

5. 입시 전문가의 팁

  • ‘하고 싶은 말’보다 ‘입증할 수 있는 말’을 쓰세요. 수업 후 활동 기록이 실제 생기부에 남기 때문입니다.
  • 교과 간 연계가 잘 드러나야 합니다. 예: “지구과학 수업 + 수학 통계 활용”
  • 교사와 협업을 통해 계획 → 실행 → 결과로 이어지는 흐름을 만들면 생기부 반영 시 강력한 ‘스토리’가 됩니다.

6. 마무리 조언

학생 주도 수업 계획서 작성은 단순한 과목 신청서가 아닙니다. 대학은 학생의 학습 경로 전체를 통해 진로 목표를 실현하는 과정을 보고자 합니다. 20년간 입시 현장에서 본 바로는, 계획이 있는 학생과 없는 학생의 결과는 분명히 달랐습니다.

오늘부터라도 자신만의 계획서를 직접 구상해 보고, 학교 선생님과 적극적으로 협의해 나가길 바랍니다. 그 경험 자체가 학생부 종합 전형의 핵심 자산이 될 것입니다.

 

아래 자료는 학생 자기 주도 학습 계획서의 샘플입니다.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학생주도수업계획서_AI공학.hwp (1).docx
0.03MB